건강개념의 변화에 따라 건강보호체계는 치료의학모델에서 생활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생활모델에 기반한 노인건강보호체 계가 지역 포괄적 노인케어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핵심 요소는 지 역성과 포괄성이다. 지역성은 지역의 건강욕구를 파악하여 지역의 특성과 관습, 가치에 따라 해결방식을 모색하여 주민참여에 의해 서 비스가 제공되는 것이고, 포괄성은 서비스 유형과 제공주체, 대상의 포괄성으로 보건ㆍ의료ㆍ복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 전문영역의 통합적 접근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대상자의 포괄성이라는 입장 (grand & general)에서 지역 포괄적 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이론 화 작업의 필요성을 정리했는데, 그와 같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 제로는 ① 지역사회의 가용가능한 자원의 개발과 조직화, ② 지원주 체 간의 연계와 협력체계의 구축(네트워크), 그리고 ③ 시스템의 터 미널로서 지역포괄케어센터와 같은 중간조직의 설립 운영과 외부 기술혁신의 적극적 도입의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서 론
지역 포괄적 노인케어를 전제로 한 건강 개념의 전환
건강개념의 전환과 사회복지의 생활모델
지역 포괄적 노인케어의 특징과 과제
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