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의 대표적인 인지장애인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는 뇌신경 네트워크와 연관되어 특이적으로 분포하며, 개별 뇌신경 세 포 차원을 넘어서 뇌 고위 네트워크의 기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맥락에서 알츠하이머병은 뇌 부위 간 연결성의 장애, 즉 분리 증후군(disconnection syndrome)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므로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및 진행 기전을 이해하고 다양한 임 상 증상 발현과 관련된 신경 기질(neural substrate)을 보다 더 정확 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위 네트워크 차원에서 뇌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경과학 분야에서 네트워크 분 석 방법이 적용되게 된 배경과 그래프 이론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고, 노년기 인지장애와 관련한 기능적 뇌 네트워크 최신 연구들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서론
일종의 복잡계로서의 뇌
뇌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방법론의 문제
그래프 이론과 뇌 네트워크의 작은 세상 특성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에서의 기능적 뇌 네트워크 변화
논의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