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살하는 비율은 OECD가입국 중에서 가 장 높은데, 특히 노인들의 자살률은 다른 가입국들과의 차이가 더욱 심하다. 노인들 중에서도 나이가 많을수록 그 비율은 가파르게 상승 한다. 자살을 한 노인들의 가장 공통적인 정신과적 진단은 우울증이 며, 노인들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동기는 자살을 하는 동기와 매우 유사하다. 곧 우울증의 치료는 자살 예방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우 울증을 초래하는 요인들은 생물학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등 다 양하지만, 특히 질병이나 장애 등으로 신체기능 상태가 악화되었을 때 삶의 질이 저하되면서 자살을 시도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나타난 다. 우울증 치료에는 약물요법, 전기충격치료, 및 여러 가지 형태의 심리치료 기법들이 응용되고 있다. 노인환자의 우울증 및 자살예방 에 대한 수많은 대처방안들이 존재하지만,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 종 교성이나 영성에 기반을 둔 영적 간호에 초점을 맞추어 그 효과를 개괄하였다. 그 효과란 삶과 죽음의 의미, 삶의 목적 등을 밝히고 질 병이나 일상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대처하고 적응하는 힘을 기워주는 것이다.
고령화와 노인자살
노인자살의 원인과 우울증
우울증 치료와 자살 예방
종교성 및 영적 간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