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5년 도에 662만 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3.1%를 차지했으며, 2060년도에는 그 비율이 40% 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통계청, 2015). 저출산 현상과 더불어 나타나는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 현상은 노년부양비를 증 폭시키면서 경제적 문제를 비롯하여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 상실, 고독과 소외감, 질병 등의 사회 문제들이 점점 심각해질 것으로 예 견된다. 이에 정부는 2005년 저출산ㆍ고령사 회 기본법, 2006년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2011 년 산업융합촉진법등을 제정하여 고령화 사회 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시작했으며, 구체적 으로는 국정과제로 고령자 복지형 헬스케어 융합제품ㆍ서비스,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케어 기술, 항노화 특화 글로벌 헬스케 어, 항노화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의 고령친 화산업을 육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 들어가기
Ⅱ. 노인의 건강에 관련된 연구동향
Ⅲ. 노인의 건강상태 측정 및 평가 도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