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키워드
초록
Ⅰ. 장애노인인구의 증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 들 정도로 빠르게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 는데, 장애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 구원의 ‘보건복지 현안분석과 정책과제 2015’ 라는 현안보고서에 ‘장애인구의 고령화: 실태 및 시사점’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여기에 의하면,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 증 가 비율과 비교했을 때 65세 이상 장애노인의 증가 비율은 거의 2-3배 정도 빠르게 진행되 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 전체인구에서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0년 이후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그 비율이 2000년 39.1%에서 2005년 62.3%, 2008년 68.1%, 2011 년 71.1%로 확연하게 늘어나고 있다(황주희, 2016).
목차
Ⅰ. 장애노인인구의 증가
Ⅱ. 노인의 연령기준과 장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1)
- 가족학에서 조망한 노인의 연령기준
- 노인복지 관점에서의 노인 연령기준
- 고령화 시대의 지능로봇 기술
- 일본의 단카이 세대를 토대로 조망한 초고령사회
- 고령화 시대의 건강한 노년을 위한 식품영양학
- 고령화 시대와 노인의 연령기준
- 고령화에 준비가 안 된 노동시장
- 백세시대의 노인연령 규범에 대한 함의
- 노인의 연령 구분: 실용(實用) 혹은 수사(修辭)
- 건축학 관점에서의 노인 연령기준
- 노인의 연령기준 상승과 그 효과
- 노년기에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의 이해
- 고령층의 연령기준과 노인시설 및 주거
- 노인을 위한 포괄적 케어시스템의 발전방향
- 고령운전자와 노인의 연령기준
- 노인의 건강상태 측정 및 평가를 위한 디지털화된 도구의 접근방향
- 경도인지장애 전단계: 인지적 변화에 대한 주관적 인식 단계
- 장애와 복지 관점에서의 노인 연령기준
- ‘초고령 사회’ 일본의 노인복지 실천과 교훈: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해법과 정책 과제
- 치매환자 가족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노인급증에 따른 간호학의 이슈와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