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Ⅰ. 가족생활주기와 노인 일반적인 가족생활주기는 결혼으로 시작해 서 자녀출산으로 확대되고, 자녀의 결혼이나 분가로 축소되며, 그리고 부부의 사망으로 끝 이 난다. 최근 사회변화로 인해 가족생활주기 도 변하고 있는데, 우선 과거에 비해 초혼의 연령부터 늦어지면서 가족형성기의 시작도 늦 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초혼의 연령은 1995 년 남성 28.4세, 여성 25.3세였지만, 2015년에 는 남성 32.6세, 여성 30.0세로 4년 이상 늦어 졌다(통계청, 2016a). 자녀를 출가시키는 부모 도 마찬가지이다. 자녀의 혼인이 시작되는 기 혼 여성의 연령은 1979년 이전에는 평균 54.9 세였지만, 2000년대에는 59.5세로 늘어났으며, 또 자녀의 혼인이 완료되는 기혼 여성의 연령 도 그 기간 59.5세에서 63.9세로 늘어나고 있 다. 그러나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되면 서 자녀가 독립한 시기로부터 노년기에 이르 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곧 모 든 자녀를 출가시킨 후 배우자가 사망할 때까 지 노인부부가 함께 보내는 기간은 1979년 이 전에는 16.67년이었지만, 2000년대에는 22.02 년으로 점점 길어지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김 승권, 2012).
Ⅰ. 가족생활주기와 노인
Ⅱ. 노인의 연령기준 조정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