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649.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연령기준 상승과 그 효과

  • 356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65세를 기준으로 한 노인의 수와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 220만 미만이던 노인의 수가 2015년 현재 660만 이상으로 늘었다. 이들이 전체 인 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1990년도에 5.1%에 서 2015년도에는 13.1%로 늘었다. 이런 현상 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대수명 증가와 관련 성이 크다. 1970년 여성 65.6세, 남성 58.7세이 던 기대수명은 2015년도에는 여성 85.1세, 남 성 78.5세로 늘었다. 이처럼 노인인구비율과 기대수명의 증가는 심리학이라는 학문분야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이러한 상황 에서 노년기의 기준을 현재 65세에서 상향조 정했을 때 그것이 머지않은 장래에 노인이 될 사람들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에 본 소고에서는 이 두 측면을 간단히 살펴 본 다음, 결론적으로 현재의 노년기 기준을 상향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 하고자 한다.

Ⅰ. 노년인구의 증가가 심리학 분야에 미치는 영향

Ⅱ. 노인의 연령기준 상향조정이 갖는 효과

Ⅲ.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