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통합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사회성 차이를 분석하여 통합체육체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여,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S시 소재 5개 초등학교 5?6학년 653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 첫째, 성별에 따른 시설의 인식에는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 수업의 시설, 프로그램 인식에는 5학년 집 단이 6학년 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여부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시설 인식에는 미참여집단이 참여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시설 인식에는 미참여집단이 1년 미만 집단, 1년 이상 집단 보다 인식 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통합체육수업을 통한 일반학생의 사회성 첫째, 성별에 따른 장애의 존중성, 협동성은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사회성 발달 정도 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협동성은 5학년 집단이 6학년 집 단에 비해 사회성 발달 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참여기간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 회성 발달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현장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과 다양한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