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수집된 각 개인의 자료를 맞춰감에 따라 문제의 전체상을 구 조화시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파악해 나가는 KJ법(발상정리법)의 분석과정을 통 하여, 경도의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성(性) 스트레스의 내용, 관련요인,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들은 사춘기의 급격한 신체 변화로 인한 성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 불만감, 자위행위를 하거나 호기심으로 음란물 을 보는 것과 같은 은밀한 성행동에 대한 죄책감, 동성 성관계를 요구당하거나 주위의 혼전 임신, 성추행과 같은 직접적인 성문제로 인한 두려움 등 다양하고 많은 성(性) 스트레스를 가 지고 있었다. 관련 요인들을 살펴보면, 의미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 대중매체의 부정적 영향, 급격한 신체변화와 감정의 성숙 간의 격차에 의한 성 스트레 스가 있었으며, 성교육을 통한 긍정적 가치관도 자위행위, 성 욕구, 호기심 등에 의해 성행동 문제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리고 그들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미 학습되고 고착화된 각자 의 문제해결 방식으로 성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장애 청소년들의 성(性)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사회적 기 술에 대한 배움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 성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강사 양성에 관한 체계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셋째, 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관련 요인들 간 의 이중, 삼중 메시지로 인한 장애 청소년들의 혼란이 없도록 성 관련 요인들 간의 합일된 내용이 정립되어야 한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