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화시대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6권 제1호
- : KCI등재
- 2014.01
- 1 - 12 (12 pages)
연구목적 고령화사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고령근로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 상되는 상황에서 고령근로자의 산업재해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보건관리와 고령근로자에게 필요한 업무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정책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고령화 추이와 고령자 산업재해 현황을 파악하였고, 고용노동부의 통계자료 를 바탕으로 근로자 연령별로 산업재해자와 사망자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근로자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재해율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재해 예방노력이 시 급히 요청되고 있다. 산재 사망자 10명중 4명이 55세 이상이며 이중 절반이 60세 이상이다. 신체기능 저하의 근본적 원인과 함께 사업장에서 고령근로자를 배려하는 작업환경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중고 령 근로자를 위한 재해 예방 대책으로 ‘작업환경개선’이 가장 우선순위의 정책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결론 산업안전보건관리 관련 정책과제로는, 첫째 고령화 사회 도래에 대한 계도 및 홍보를 강화해야 한 다. 둘째 고령화 문제에 대한 정확한 교육을 하기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안전보건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고령 근로자가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근로자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작업 능력 및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 어야 한다.
Ⅰ. 서론: 문제제기
Ⅱ. 본론: 고령화 추이와 산업재해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