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지역)특수교육지원센터의 안전교육 실태와 치료사의 인식도 조사에 관한 연구
- 이지은 박진성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5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1
- 89 - 94 (6 pag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치료사들을 중심으로 안전교육의 실태와 치료사의 인식도를 알아보고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3년 3월 2일부터 31일까지 울산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통해 총 21부를 유효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7.0 version을 사용하여 기술통 계,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 내 안전교육의 실태에서 안전교육의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더 많았으며, 안전교육을 받은 장소는 대학전공과정이 가장 많았다. 안전교육의 영역은 간질 및 발작이 가장 많았고, 안전교육 에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점으로는 응급처치 교육의 부족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안전사고의 경험 에서는 1~5회가 가장 많았고, 안전사고 시 가장 곤란했던 점은 정신적 피해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안전사고의 발생장소는 치료실이 가장 많았고, 안전교육을 위한 자료의 구비정도는 전혀 없다가 대다 수였다. 안전사고 후 사후 처리담당자는 담당치료사가 가장 많았고, 안전사고 처리과정 중 가장 곤란 했던 점은 학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안전사고를 경험한 치료사들이 전체 치료사 중 15명(71.4%)으로,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 다고 조사되었으며, 20명(95.4%)이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위 해서는 행정적 기관차원에서 정기적인 치료사 연수 등을 통해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따 라서 앞으로는 행정적 기관차원에서 장애아동과 치료사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사고 예방교육이 필 요할 것이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