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노인의 인지건강관리 중재에 관한 체계적 분석 : 작업치료 서비스 형태에 대한 제언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2권 제2호
- : KCI등재
- 2010.01
- 31 - 40 (10 pag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된 노인 인지기능의 향상이나유지에 대한 실제적 노력들을 살펴보고, 재활 의료 서비스 영역뿐만 아니라 일반 건강증진 서비스 형태로서의 작업치료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수행하 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Narrative synthesis를 통하여 Systematic review를 수행하였다. 2010년 4월 22일 한국학술 정보논문검색서비스(KISS)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검색 서비스를 통해 연구주제에 대하 여 검색하여 KISS에서 261건, 국회도서관에서 1,356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1,431건이 검색되었으나 선별 과정을 거쳐 총 24건의 연구가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검색어는 ‘노인’과 ‘인지’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 연구들은 실제적 중재를 통한 실험적 연구 결과들로서 연구 대상은 총 1,015명이었고, 그 중 연구 대상의 성별을 명시하지 않은 6개의 연구 결과를 배제한 나 머지 연구의 연구 대상 799명 중 남성 노인의 비율은 총인원 141명으로 17.6%이고 여성 노인은 총인원 658명으로 82.4%에 해당하였 다. 고찰 및 결론 국내에서 연구된 사례들 중 인지기능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된 결과는 주로 체육활동 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증명하였다. 정신적 활동, 지각, 감각작용 등의 다각적 접근을 제공하는 작업치료는 서비스 수혜 대상에게 더욱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참여와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된 상황에서 치료 중재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상담이나다각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 국내의 작업치료 영역의 확대와 변화가 필요하다.
Ⅰ. 서 론
Ⅱ. 연구목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