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지행동치료가 치매환자의 배회행동과 보호자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신송재 이재신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5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1.01
- 33 - 45 (13 pages)
목적: 본 연구는 노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치매환자의 배회와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치매와 배회진단을 받고 항정신성 약을 투여하지 않는 3인을 선정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1주간 3회, 한 회기에 1시간씩 대상자의 병동에서의 배회 행동을 한국판 배회 도구(Revised Algase Wandering Scale-Nursing Home Version: RAWS-NH)로 측정하였다. 또한 기초선 기간 직전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를 측정하였다. 치료 기간에 인지행동치료는 기초선 기간이 끝난 후 4주간 총 12회기를 연구자에 의해 실시되었다. 인지행동치료는 연구자와 대상자 간에 그룹치료로 실시되었다. 인지행동치료 중 신체조절법(호흡 훈련법, 근육이완 훈련법)을 실시하였다. 치료가 끝난 후 매회기마다 대상자의 병동에서의 배회행동을 RAWS-NH로 측정하였다. 치료기간이 끝난 후 NPI-Q를 1회 측정하였다. 치료 후 기간은 인지행동치료를 종료한 후 기초선 시기 때와 같은 방법과 기간에 대상자의 RAWS-NH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이 종료한 후 한달 후에 추적결과로 RAWS-NH와 NPI-Q를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치료 전후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대상자에서 RAWS-NH와 NPI-Q 총점이 감소하였다. 추적 관찰 결과에서도 모든 대상자에서 감소를 보였다. 결론: 인지행동치료가 치매환자의 배회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보호자의 부담감을 감소시켰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