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755.jpg
KCI등재 학술저널

치매 노인에게 적용한 작업 중심 회상치료와 의사소통 중심에 따른 회상치료의 효과

  • 569

목적: 회상이란 과거에 경험한 것에 재인감정을 가지고 재생하는 것으로 즉, 과거의 일을 돌이키는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정의 하며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회상 치료와 작업 중심의 회상치료를 통해 치매 노인들의 상호작용 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제행동인 참여도, 언어적 참여도, 자리이탈 감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주간 보호센터에 다니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65세 이상 노인 7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매주 1회 1시간씩 10회기로 회상치료를 진행하였다. 노인들은 MMSE-K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진 자료를 사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회상치료 4회기, 작업 중심의 회상치료 4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을 중심의 회상치료의 참여도와 언어적 참여도는 작업 중심의 회상치료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자리 이탈은 작업 중심의 회상치료가 의사소통 중심의 회상치료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사진을 사용한 회상치료 보다 과거 물건을 가지고 작업 중심 회상 치료를 수행 하였을 때, 노인들은 흥미를 가지고 활동에 참여가 가능 하였으며, 언어적 참여는 또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작업치료사들이 작업 중심의 회상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전문적인 지식습득을 하였을 때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가 더욱 활발히 연구가 진행 될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