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7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도와 학과만족도 연구

  • 170

목적: 본 연구는 경북지역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도와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 히고 향후 전문가적인 작업치료사가 되기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교)의 작업치료과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전공인식도와 학과만족도에 대해서 는 t검정과 F검정(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Scheff?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여학생이 122명(61.0%)이며, 1학년 73명(36.5%), 2학년 50명(25.0%), 3 학년 77명(38.5%)이었다. 자원봉사 경험과 전공현장실습 경험 있는 학생이 각각 136명(68.0%), 77 명(38.5%)으로 나타났으며 입학 당시 전공인식이 있는 학생은 84명(42.0%)이었다. 성별에 따른 전공인식도 차이는 없고 학과만족도는 남학생이 높았다(p<.01). 자원봉사 경험과 전공 현장실습 경험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전공인식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전공인식도와 학과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r=.725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p=.000). 결론: 본 연구결과로는 전공인식과 학과만족 간에 상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전공인식도는 자원봉사 경험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