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764.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수공예 활동을 치료로 적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165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수공예 활동을 치료로 적용한 연구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디비피아를 통해서 학위 논문 및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art & craft, 수공예, 공예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수는 조사된 연구 중 4편만이 20명 이상의 대상자수를 확보하였고 그 외 모든 연구들의 대상자수는 20명 이하로 이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 설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 일련의 반복측정 설계안에서의 두 집단 혹은 그 이상 집단의 비교연구 인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aized trial) 연구는 없었으며,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에서의 비교 연구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 (Non-RCT) 연구는 전체 연구 중 총 2편이였다. 그 외 단일 집단의 사전-사후 치료의 비교연구는 총 4편 이었다. 그리고 각 연구군에서의 적은 n수로 인해 조사된 모든 연구들 모두에서 내적 타당 도 는 2, 외적 타당도는 c의 평가를 받았다. 각각의 연구별 수공예 중재 적용에 있어서 얻어진 효 과들로는 7가지로 요약이 되어지는데, 인지기능 향상, 시지각 기술 증가, 사회적 기술 증가, 스트레 스 감소, 우울감소, 정서표현 수준 증가,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 향상 등이 나타났다. 결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서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가 높은 세밀한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수공예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