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동성연구

Job Stress and Passivity of Public Workers

  • 10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직원 중 D시와 S시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장생활 중에 겪게 되는 다각적인 측면의 조직 내 스트레스를 수동성 특성과 연관하여 교류분석 관점 에서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환경적 맥락 속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들의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TACA형 조직스트레스 척도 개발을 위한 첫걸음으로 스트레스 180문항을 1차 설문과 기술형 질문을 포함하여 77명의 참여자에게 예비설문을 실시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1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집 단 경험을 주제별로 범주화하면 14개의 소주제와 5개의 본질 주제로 범주화 하였다. 진술내용 을 분석하여 소주제로 나누어 수동적 행동 특성으로 나누어 보니 인간관계, 의사소통, 개인성 향, 건강문제, 조직체계에 따른 영역별 스트레스 내용도 수동적 행동으로 다섯 가지 영역 내 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조직 내 다른 상황에서 일어나는 각각의 스트레스 정 도에서 개인의 수동적 행동특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직 내 스트레스와 교류분석이론을 적용하여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내용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