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논쟁과 설득으로 본 <수궁가> 담화의 원리

Principle of conversation in Pansori “Sugungga” through argument and persuasion

  • 160

판소리는 구비서사물이면서 공연예술이다. 판소리의 서사전략을 논의하기 위해서 는 구비가창되는 판소리의 특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문예물로서의 판소리 가 아닌 ‘말’로서 전달되는 구비적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고 논의할 때 판소리 서사의 특징이 더 잘 드러나리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판소리에 나타난 담화(대화, 혹은 발화)와 담론(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 인 말)을 중심으로 판소리 &lt;수궁가&gt;의 서사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 해 현재 가창되는 공연물로서의 판소리 창본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논쟁과 설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lt;수궁가&gt;는 중요한 서사 진행이 ‘논쟁’과 ‘설득’을 위한 담화 구조로 되어 있다. 어 족회의나 모족회의 대목, 토끼유인대목과 토끼가 용왕속이는 대목은 이 구조의 핵심 적 논쟁 부분이다. 어족회의는 용왕을 중심으로 한 정치적 현실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논쟁을 통해 무능한 신하와 충성스런 별주부의 모습을 대비하여 보여준다. 모족회의 는 상좌다툼을 통해 허세와 과시에 대한 경계는 물론, 논리가 아닌 과장과 힘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구성원들의 관계도를 볼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 부분의 논쟁은 설득으 로 나아가지 못하고 논쟁 자체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논쟁의 방법도 ‘부정적인 내용으로 반박하기’ ‘지식자랑하기’ ‘인신공격’ 등이 쓰이고 로고스보다 에토스 나 파토스적인 요소가 많다. &lt;수궁가&gt; 논쟁의 가장 중요한 대목인 토끼유인 대목과 용왕속이는 대목은 논쟁의 결과가 설득으로 이어져 있다. 이 두 대목은 논쟁의 비중이 서사 진행상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서로의 문답 혹은 대화가 엎치락 뒤치락하며 논증과 반박을 이어간다. 핵심 적인 설득의 요소는 논리적인 증명을 보여주는 로고스지만 별주부와 토끼의 성품에서 비롯된 에토스적 요소, 논쟁 중 벌어지는 동정, 호소, 위협, 호통, 칭찬 등 정서적 파토 스가 강하게 사용된다. 결국 &lt;수궁가&gt; 논쟁에서, 설득의 요소는 고루 사용되지만 청 자의 정서를 고려한 파토스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판소리는 담화 구조 내에서 연창자가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기본 메카니즘을 가지고 일어나는 예술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연창자는 작품 내에서 논쟁이 일 어날 경우 논쟁에 대한 시각과 의미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lt;수궁가&gt;의 경우 논쟁 자체가 작품의 서사진행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주제적 해석을 유도하기 때문에 연 창자의 설득적 담화는 논쟁의 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요컨대 &lt;수궁가&gt;는 작품의 내적, 외적 구조에서 논쟁과 설득을 기본 구조로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표현기법면에서 에 토스, 파토스, 로고스적인 설득 요소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머리말

2. 구술담화로서의 판소리적 특성과 설득의 수사학

3. &lt;수궁가&gt;에 나타난 논쟁의 양상과 유형

4. 논쟁과 설득 구조로 본 &lt;수궁가&gt; 담화 양상과 판소리의 원리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