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작품에 대한 깊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그 특유의 서사문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설화의 언어는 일반 언어와 다르다. 그 언어는 모호하고 다의적이며, 비사실 적이고 허구적이다. 상상적 자유로움을 마음껏 구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잘 짜인 틀거리를 이룬다. 개별성과 자유로움, 변격의 낯섦과 개방적 모호성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가 확산을 지향하는 가운데 원심력을 발휘한다면, 총합성과 규칙성, 정격의 익숙 함과 명확성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구조는 수렴을 지향하면서 구심력을 발휘한다. 그 서로 다른 운동성이 역동적으로 맞물리는 가운데 미적 질서와 긴장을 구현하는 것이 설화의 본질적 특징이다. 그간의 설화분석은 화소와 순차구조를 축으로 한 양항적 지향을 효과적으로 매개 하는 길을 잘 찾아내지 못했었다. 심리학적 분석이나 원형적 상징 분석 등은 화소의 의미를 깊고 다양하게 짚어내는 대신 서사구조적 정합성을 놓친 쪽이었다. 반대로 순 차구조 중심 설화론은 형태적 규칙성을 찾아낸 대신 화소들이 발현하는 의미상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놓친 측면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양자를 매개할 분석 축 으로서 ‘서사적 화두’ 개념을 설정하고 민담 <신바닥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분석을 수행했다. 설화에서 ‘서사적 의미 축을 이루는 쟁점적 문젯거리’를 핵심적으로 찾아내 고 그를 통한 순차구조 분석과 화소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자를 형태적·의미적으로 통합한 보다 정합적이고 입체적이며 풍성한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 것이었다. 논의의 말미에는 서사적 화두 중심 설화분석 프로세스도 제시했거니와, 본 연구에서 제출한 분석 모델은 설화 외에 현대 문화예술 분석에 널리 적용되는 한편 스토리 관련 기획과 창작에도 유효하게 원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서 론
2. 설화 또는 민담이라는 특별한 언어
3. 화소와 순차구조의 양항적 역학관계
4. 화소 간 의미적 관계와 서사적 화두
5. 화소·구조 통합적 설화 의미 분석
6. 서사적 화두 중심 설화분석 프로세스
7. 이야기문화와 스토리분석의 지평
: 결론을 대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