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스토리텔링과 서사무가

Storytelling and Shamanic Epic

  • 221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스토리텔링연구의 학문적 기초 작업을 논하고 스 토리텔링연구의 본보기로 서사무가를 예로 들어 작품 만들기의 기법을 검토한 연구이 다. 스토리텔링은 구조서사학의 일환으로 서사작품을 생성하는 데 초점을 둔다. 과거 의 구조주의 서사학이 서사구조를 해부하는 해석학인 데 비하여 최근의 스토리텔링은 이미 만들어진 서사작품을 활용하여 새로운 서사작품을 생성하는 이론과 실제를 탐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리텔링은 중국이나 한반도의 전통사회에서 이미 널리 보급되어 실행되어 온 이야기 구연행위로서 굿마당에서 무녀가 구연하는 서사무가, 이야기꾼의 이야기나 강 독사의 소설 낭독, 그리고 명창들의 판소리 구연 등이 두루 포함된다. 오늘날의 스토 리텔링도 이들 전례로부터 원리와 방법을 시사받을 수 있다. 서사는 주체가 특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움직이면서 의미를 생성하는 양식으로 서, 이를 연구하려면 주체, 움직임, 시간과 공간의 성격,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서 유발되는 흥미를 기본적으로 탐구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초 과제 로서 이러한 여러 요소에 대하여 개념과 특징을 살폈다. 서사무가의 스토리텔링 원리를 보면 먼저 핵심서사가 결혼과 출산의 반복으로 전 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인류가 결혼과 출산을 통하여 생존을 지속한다고 하는 원 리를 드러낸 원초적 서사의 성격을 지닌다. 텍스트 만들기 기법에서는 이전부터 전승 되던 단위사설들을 서사의 국면에 따라 폭넓게 삽입해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논문에서는 <성조신가>를 예로 들어 그러한 작시원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구 비공식구 이론으로 널리 알려진 작시원리를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적용한 실레를 검토 해 본 것이다.

1.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범주

2. 전통사회 스토리텔링과 연구

3. 스토리텔링 연구의 기초 작업

4. 서사무가와 스토리텔링

4.1. 서사무가의 구연방식

4.2. 서사무가의 핵심서사

4.3. 서사무가의 텍스트 만들기

5. 맺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