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오모로소시와 기코에오기미(聞得大君), 그리고 創世神

Omoro s?shi, Kikoeookimi(聞得大君), and God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 39

오모로소시는 신녀(神女) 기코에오기미를 위해 만들어진 노래였다. 유규의 오모로 소시에 담긴 사유를 보면, 왕의 권위는 천상계의 태양신에서 비롯되는데 태양신과 국 왕을 신녀가 매개한다. 신녀는 국왕을 수호하는 힘이다. 그래서 ‘태양신-신녀-국왕’이 라는 천상계와 지상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오모로는 지배체제를 수호하고, 왕과 왕 실의 번영을 찬미하고 기원하는 노래다. 그래서 신놀이가 자주 등장한다. 거기에는 노 래, 춤, 악기 연주, 제장의 장식 등 종합예술적 궁중의례다. 그러니 장르적으로 본다면 교술적 성격 안에 서사적, 서정적, 희곡적 성격이 두루 나타난다. 신녀 제도는 유구의 전통적인 ‘오나리’ 신앙에서 비롯되었다. 여동생의 영력이 오빠 를 수호한다는 믿음이다. 이 전통에서 여동생 기코에오기미가 오빠인 尙眞王을 수호 하는 제도가 만들어졌다. 애초에는 신녀 우위의 신앙이 있다가 후에는 왕권을 중시하 는 쪽으로 변화하고 왕권강화 수단으로 신녀제도가 활용되었다. 애초 유구의 전통은 여성신 중심이었다. 바다 저편(니라이 가나이)의 이상향에서 문 명을 가져오는 신도 여성신이었다. 창세의 여신 아만추는 시간이 흐르면서 아마미쿄 로 바뀌고, 아마미쿄가 세상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오모로에 정착한다. 그런데 그 창세가 천상계 태양신의 명령과 도움으로 이루어진다는 이야기로 정착한다. 유구 신화 는 신녀 중심에서 왕권 중심으로, 여성영웅서사시에서 남성영웅서사시로, 바다 중심에 서 천상계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을 읽을 수 있다.

1. 서

2. 오모로

3. 기코에오기미(聞得大君)

4. 創世 오모로

5. 니라이 가나이와 海洋神

6. 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