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의인법과 서사적 구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Anthropomorphism and Narrative Structure

  • 223
커버이미지 없음

서사적 장르에서 의인법은 일반적으로 동물과 같은 비인간에 인간의 속성을 부여 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반사실적 기법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동물이 주인공이 되는 이야기는 충실한 사실주의에 따르는 경우와 동물을 의인화시키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도식 자체가 근원적으로 의인적 성격 을 지니고 있다는 그레마스의 테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동물과 같은 비인간이 이야기의 중심에 놓일 때 이미 의인화의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의 통일로서의 서사적 주체성이라는 개 념을 제안하고, 서사적 주체가 기본적으로 의인적이며, 이야기의 핵심적 구성 요소라 는 점을 밝힌 뒤, 이솝우화의 사례들을 통해 이야기가 어떻게 동물, 식물 등의 비인간 적 존재를 서사적 주체로 구성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1. 문제제기

2. 서사적 주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

3. 서사적 주체로서의 우화 속 동물들

: ?거짓말하는 양치기?에서 ?참나무와 갈대?로

4. 보론: 발신자로서의 동물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