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구술서사학의 현재와 미래 -구조주의에서 탈구조주의까지

A Critical Survey of Oral Narratology :From Structuralism to Poststructuralism

  • 374

이 글은 구술서사가 갖는 일반적 논리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서사학의 관점 들을 소개하여, 미래의 구술서사학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사학의 출발이 구조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제를 토대로, 가장 고전적인 구조주의 서사학에서의 구 술서사의 논의를 소개하고, 이러한 구조주의 서사학이 갖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생겨 난 여러 탈구조주의 서사학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검토하려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구술서사에 적합한 탈구조주의 서사학으로 인지서사학, 연행서사학, 매체서사학을 제 시한다. 인지서사학은 인간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서사의 발생, 구성, 수용에 개입하는 논리를 다룬다. 연행서사학은 연행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개입하는 여러 우발적 요소 들이 서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매체서사학은 매체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매체들 간의 전이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서사에 대해 다룬다. 이들 이론들은 각각 야콥슨의 소통모델에서, 발신자와 수신자, 콘텍스트, 접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들 모 두가 소환되어 기술되어야만, 구술서사는 그것의 특성에 적합한 논리로 기술될 수 있 다. 이 글은 이러한 통합의 논리를 기호학에서 찾고자 한다.

1. 구술서사학을 위한 전제

2. 구조주의 서사학

3. 탈구조주의 서사학

4. 통합적 구술서사학을 위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