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인간들이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받는 것은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실존의 모습이 며 교육 현장 또한 예외가 아니다.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갈등과 상처, 그 리고 따돌림, 폭력으로 인한 고통 뿐 만 아니라 교사들의 다양한 갈등과 상처, 그리고 이로 인한 분노, 스트레스와 소진, 외상 현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실존 속에서 최 근 진행되어 온 용서에 대한 경험 과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사람들이 용서에 대해서 불편하 고 부담스러워 하며 부정적이고 방어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살펴보고, 회복적 정의 실 현의 맥락에서 용서에 대한 바른 이해와 건강한 적용을 통해 치유와 회복, 외상 후 성장과 회복탄력성 증진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으로서 용서의 실제, 과제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1. 교사의 스트레스, 고통과 소진
2. 학교 안에서의 다양한 갈등
3. 인간관계 갈등, 상처, 분노 그리고 용서
4. 용서에 대한 오해와 편견
5. 거짓 용서
6. 진정한 용서
7. 용서의 촉진 전략
8. 용서연구와 실천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