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창의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Recognition of Pre-kindergarten Teachers for Creativity: Focused on conceptual analysis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6권 1호
- 2016.01
- 213 - 222 (10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창의성 교육 에 대한 실태 파악과 향후 지침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 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내용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 의 개수는 278회로 나타났으며, 30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종속개념의 수, 위계, 특성점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개념에 대한 밀도는 1.00에서 5.74로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에 대한 지식이 위계적이고 조직적이기 보다는 평행적이고 전체적인 통합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의 방향 제시와 예비교사교육의 체계적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1. 서론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