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행복감,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ubjective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f Teachers - Focuse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
- 좌승화,윤정진,이해정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6권 4호
- 2016.05
- 231 - 238 (8 pag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관해 설문한 설문지 349부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행복 은 Argyle(2001)의 행복척도를 번안한 권석만의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한 최영옥(2011)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지지는 임진형(2000)이 개발한 도구를 예비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 여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도구를 번안한 전병제(1974)의 검사도 구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단계별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총점 및 하위요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행 복감과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관 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관련이 높다는 연구 를 지지하며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 이다.
1.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