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경험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 140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수업 운영 형태 중 이야기나누기에 초첨을 맞추어 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나누기 수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보육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돕고,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의 향상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어린이집에서 담임으로 근무하는 교사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관찰, 심층면담, 동료교사와의 협의, 교사의 저널쓰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수업 운영에서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준비에 대한 어려움을 갖는다. 둘째, 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교사의 발문형태에 대한 지도를 필요로 한다. 셌째, 이야기 나누기는 주로 대집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 때 교사는 유아의 주의집중에서 많은 어려움으로 겪는다. 이를 통하여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학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of childcare teachers in circle time, one of instructional forms. It s basically meant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class of circle time and to boost the teaching abilities and reflective thinking faculty of day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ven selected homeroom teachers in a daycare center. Data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discussion with colleagues and journalling,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faced difficulties while they made preparations for this class. Second, they were in need of guidance on how to ask questions during interaction with preschoolers. Third, preschoolers had a circle time mostly in large group, and the teachers had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their lack of att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wide range of necessary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circle time, and that supervis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