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한국인의 전통적 효사상과 부모부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Ideology of Filial Duty and Parent Support

  • 120

효(孝)는 우리 민족의 오랜 세월동안 전통적인 가족관계에 있어서 가치기준에 근거하였고, 인간관 계의 가장 기본적인 부모와 자녀관계를 유지시켜주는 덕목으로 여겨왔다. 이 효도는 가족관계를 넘어 서 사회와 국가에 대한 역할의 덕목인 충(忠)으로까지 그 의미의 범주를 넓히기도 하였다. 효의 기본 윤리는 부모공경과 형제간의 우애이며 가족 간의 사랑이지만, 나아가서는 이웃에 대한 배려와 사랑으 로 발전하였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물질주의로 인하여 점점 인간이 소외될 뿐 아니라 도덕과 윤리가 점차 실종되 어 가고 있고, 부모의 자식에 대한 관심은 전통적 개념과는 다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즉, 자녀가 성인이 된 후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도록 권위주의적 교육이 아닌 자녀의 입장에서 교육을 실시하려 는 합리적인 가족관계로 인하여 가정의 중심이 부모로부터 자녀에게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 동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에 대해서 문제의식을 가진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효 윤리가 사회변 화에 대응하여 현대사회에 어울리도록 재조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전통적인 효의 식과 형식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점이 현대인에게는 효 자체가 부담스럽게 되었고, 오늘날의 현실 사 회에서 조차 부적합한 덕목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어버이를 내 몸처럼 사랑하고 공경하는 것을 윤리적으로 아름답고 훌륭한 행동 으로 생각하여 왔다. 효의 본질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부모를 섬기려는 효성스러운 마음에 있으며, 인간의 마음이 세상을 만든다는 말이 있듯이 어떤 일을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마음이 정해져야 한 다. 이처럼 옛날부터 양로(養老)의 효는 인정(仁政)의 근본이며, 양로의 효가 잘 행해지면 밝은 사회가 이루어져서 국가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으며, 양로원이 잘 운영되면 정치적으로도 잘하고 있다는 증 거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사회가 물질만능과 개인주의로 인하여 인간이 소외되지 않도록, 효의 기본윤리를 바탕으로 우리가 부모를 공경하고 화목한 가정을 만들고 나아가서는 타인에게 배려와 사랑을 베풀도 록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현대사회에 알맞은 효행교육은 효행의 상실로 인하여 범죄와 비행이 증가 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워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 서론

Ⅱ. 한국인의 효사상과 정신문화

Ⅲ. 현대인의 효의식 변화

Ⅳ. 효정신과 노인(부모) 부양

Ⅴ. 효의 현대적 실천 방안

Ⅵ. 맺는말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