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의 이중 언어 능력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Foreign Worker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Bilingual Ability in Korea
- 김광수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7권 5호
- 2017.05
- 695 - 702 (8 pages)
이 연구는 한국에서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그들의 이중 언어 능력이 취업활동 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밝히고,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사회에 대한 기대와 한국 내국인의 수용의 접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론적 표집을 통해서 외 국인 노동자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질 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어 습득 경로는 다양했으며 그 습 득 방식과 한국어 능력의 수준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자신들의 한국어 수준에 관계없이 한국에서 일하고 있다는 현실성 때문에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당위적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한국어 능력은 취업활동에서 불이익을 감소시켜 주는 요인이지만, 이익을 보장해 주는 수단 이 되지는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중 언어 능력은 한국으로 이주해 온 자신의 세대보다 는 자녀 세대에게 더 많은 사회적 위신과 경제적 이득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 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전지구적 노동 이동이 확대될 자녀 세대에서는 이중 언어 능력을 통해서 취업활동 분야가 단순노동 분야를 넘어 전문기술 분야로 확장되어 갈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1. 서론
2. 연구방법
3.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이중 언어에 대한 인식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