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대학 학습공동체에서 학생의 협력지향성,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이 학습공동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collaborative preferenc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of learner on learning community's satisfaction in University
- 최미나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7권 5호
- 2017.05
- 265 - 272 (8 pages)
본 연구는 대학의 중점 학습역량지원 사업인 학습공동체의 효과적 운영 지원 전략을 제언하기 위 한 목적으로 대학 학습공동체에서 대학생의 협력지향성,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이 학습공동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C대학 학습공동체 50개 팀의 77명을 대상으로 중다선 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협력지향성은 학습공동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 쳤고, 협력적 자기조절과 집단응집성은 학습공동체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협력지향성이 클수록 학습공동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학습공동체를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 해서 학습자의 협력지향성을 양성하고 구성원간 긍정적 상호의존적 협력학습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및 사전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과 인센티브 정책의 도입 등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유의 미한 결과로 도출되지 않은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로 요 인을 보다 세분화해 세부요인별 영향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서론
2.이론적 배경
3.연구방법 및 절차
4.연구 결과
5.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