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의 교과 융합 수업 분석
A Study on Subject Intergration During Free Semester
- 박소영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7권 5호
- 2017.05
- 255 - 263 (9 pages)
이 연구는 자유학기의 교과 융합 수업 실행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반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 조사와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위해 경상 북도교육청 내 자유학기 희망학교를 선정하고, 선정된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례 연 구를 위해 자유학기제 희망학교를 표집하여 학교교육계획서를 분석하였다. 교과 융합 수업의 실행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 교과 융합 수업의 횟수는 자유학기 내 1~2회, 교과 융합 수업 기간으로는 1~2주, 교과 융합 수업에 포함된 교과 수는 1~2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사례 분석의 결과, 교과 융합 수업은 특정 교과 내에서 다른 교과와 융합하거나, 주제를 중심으로 1~2개의 교과를 연계하는 수업 계획이 존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제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수업 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기회가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 교 내에서의 코티칭 또는 팀티칭 활성화를 위해 교사 간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융합 수업의 모형을 다양화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후속적 으로는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교육 성과에 대한 종단 연구를 수행하여 교과 융합 수 업의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1.서론
2.연구방법
3.연구결과
4.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