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스마트진단 접근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Accessibili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mart Diagnosis of Home Appliances
- 소정혜,김대성,손병창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7권 7호
- 2017.07
- 903 - 911 (9 pages)
스마트 진단 기술은 스마트 가전제품과 연동되는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개념의 일부 로 제품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상 상황을 진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이다. 가전제 품의 사용 중 이상 상황에 대한 인지는 사용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많은 장애인 과 고령자들이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전제품 제조사에서(2개사) 적 용하고 있는 스마트 진단 앱 접근성 기술의 문제점을 파악한 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였다. 스마트 진단 앱이 적용되는 가전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 TV, 전기밥솥 등으로 이들 제품에 사용되는 스마트 진단 앱은 카메라 모듈 기반, 와이파이 기반, 태그 온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 상황에 대한 진단, 조치는 일반적으로 3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1 단계 진단절차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기반으로 한 앱과 태그 온 방식의 앱에서 접근성 문제가 나타났 으며, 2단계 알림절차에서는 카메라 기반형, 와이파이 기반형, 태그 온 방식 모두에서 접근성 문제가 나타났다. 3단계 조치절차에서는 카메라 기반형, 와이파이 기반형에서 접근성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전자제품과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과 고령자의 신체적, 감각적, 인지적 기능을 고려한 스마트 진단 앱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한 관련 연구, 법과 제도의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1. 서론
2. 스마트 진단 앱의 종류 및 접근성 현황
3. 개선대책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