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커버이미지 없음
강사들이 교육과정을 읽고 개발자들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성취기준들이 많았다. 이는 추상적이서 실행하기 어렵다는 교사들의 응답이 각 영역의 응답 중 압도적 것 만 보아도 알 수 있다. Fullan(1991)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계획에 의해 새로운 교육과정이 개발되었을 때 새 교육과정의 실행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포함된 변화 와 혁신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분명이 기술되어야 하며, 그 교육과정의 의도와 주요 내용들 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과정의 내용들이 명확하지 않았을 경우 교사 수준에서 임의대로 해석해서 엉뚱한 교육과정이 실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1. 한국어 교육과정 실행 과정의 문제점
2.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방안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