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저널
부산 지역어의 구어 음운현상 연구
간행물 정보
- 우리말학회
- 우리말학회 학술대회지
- 2017년 겨울 우리말학회 전국학술대회
-
2017.0288 - 99 (12 pages)
저자
- 이용수 241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초록
지역어 연구라고 하면 그 지역에 오래 거주한 토박이를 대상으로 그 지역어의 전통적인 모습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한 연구를 통해 지역어 고유의 모습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 겠지만, 현재 지역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방언이라고 알고 있는 말이 실생활에서 그대로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부산 지역어의 현재 모습의 일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언어가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가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구어에 대한 연구도 그 범위가 넓어 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어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 그리 크지 않 다. 구어 연구가 실제 언어 사용을 다루는 것이기에 지역어에 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지고 있는 부산 지역어의 구어 음운현상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음운현상에 따라 세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부산 지역어의 구어 음운현상
4.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주제 유형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부산 지역어의 구어 음운현상 연구
- 한국어 동격 관형절 교육 방안 연구
- ‘물은 셀프이다’ 의미 분석 - 개념적 혼성이론에 근거하여 -
- 한·중 사동문의 구조적 대조 -사동기능핵의 내포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에서 모방하기 교수 기법 적용 연구의 동향 분석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화용교육 방안 연구 -호칭어와 지칭어 교육을 중심으로-
- 부정 의문문 ‘?지 않아?’에 나타나는 비중립적 태도 의미에 대하여
- ‘-고 잇-’의 상적 의미와 통시적 변화
- 프라트(Praat)를 활용한 한국어 억양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사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밖에’의 문법적 의미와 변화의 양상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코퍼스 활용 한국어 연구 방법론 - 이론과 실제
- 말뭉치언어학의 정체성 : 이론과 실천의 관점에서
- 전이 지역 방언의 음운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