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전통음악의 근원을 찾는다면 먼저 영남사의 이해가 필수적 이다.2) 영남지역의 전통음악은 영남이 고대사회의 변한과 진한을 비롯 하여, 신라의 서라벌과 가야국 또한 통일신라의 본거지였기 때문에 더욱 활성화되었다. 경주 및 대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진한사회에서의 음 악문화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들 고대사회에서의 음악활동은 제천의 식과 함께 나타나는데, 노래와 타악기?현악기의 음악활동이 드러난다.
1. 영남국악사와 공연 내용
1) 진한과 변진의 음악상황
2) 가야국과 신라의 음악내용
3)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영남의 음악활동
4) 조선시대 영남의 공연활동
5) 대구 향기들의 공연활동
2. 가객과 권번의 출현
1) 대구가객 한유신의 가곡 활동
2) 대구기생조합과 권번
3) 대구지역 향기의 역사적 흐름
4) 일제강점기 대구지역의 기생 단체
3. 여류명창의 등장과 활동
1) 동편제 판소리명창 유래
2) 영남지역의 판소리 여류명창
3) 대구아리랑 과 명창 최계란
4. 21세기 대구국악계의 현황과 전망
1) 대구지역 요정의 맥
2) 한국국악협회 대구지부
3) 대구의 국악분야 무형문화재
4) 새로운 국악공연을 위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