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이 시설보호아동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시설 또래애착과 학교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ring Environment on Resilienc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with Institution’s Peers and Attachment with School’s Peers
- 502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이 시설보호아동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간 의 관계에서 시설 또래애착과 학교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 소 재의 7개 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21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 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분석과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 시설 또래애착, 학교 또래애착 그리고 시설보호아동의 탄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시설보호아동의 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시설또래애착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 째,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이 시설보호아동의 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학교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나타나 지 않았다. 넷째,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은 학교또래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시설또래 애착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함께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설보호아동이 역경 속 에서도 긍정적 발달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시설체계 내에서의 긍정적 양육환경 마련과 더불어 시설 내 또 래애착 증진을 위한 환경 구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