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는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 에 대해 교사-유아관계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154 명과 담임교사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유아의 정서조절력, 교사의 정서표현성, 교사-유아관계 질문지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적 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정서조절력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교사-유아관계는 유아의 정서조절력과 유의한 상관관 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사- 유아 간 친밀관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가 높은 경우 그 영향력이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대한 교사 역할, 특히 교 사-유아 관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