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Chosun Confucianism's attention to Heavenly Mandate, and the significance of Toegye's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philosophy

  • 262

16세기 조선 학술계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천명(天命)이다. 당시 발표된 ?천명도(天命圖)?의 공통 문제의식은 인간의 선함을 천명 개념과 결부시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유는 비단 이 시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덕성의 근거를 천(天)에서 찾고 명령 개념을 통해 양 자 간의 연결을 밝히는 것은 물론 전형적인 유학적 성찰이지만, 그에 대 한 이론적 정교화 작업은 조선유학을 통해 이루어졌다. 퇴계(退溪)는 이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천명 이해에 따라 기존의 ?천명도? 를 수정하고, 그를 통해 천명에 입각한 리(理) 해석을 강조한다. 주자학 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16세기 조선 학계에서 퇴계의 이와 같 은 시도는 당대 학자들은 물론 기존 주자학 해석자들의 천명 이해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퇴계가 ?태극도 (太極圖)?와 ?천명도?의 차이점을 부각시킨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퇴계는 “리와 기(氣)가 신묘하게 응결[理氣妙凝]”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리를 천명이라 설명함으로써 주자학적 인간의 선함, 즉 도덕 성의 근거를 일종의 도덕명령과도 같은 천명에서 찾으면서도, 그 천명은 기와 결합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드러낸 리임을 분명히 하 였다. 다시 말해 리는 신묘하게 기와 응결된 상태에서 일종의 도덕명령 처럼 이 세계에 개입하는 힘을 발휘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퇴계가 기 와의 결합 이전 단계의 리의 의미까지 포괄하는 태극(太極)을 통해 인간 의 도덕성을 해명하기보다는, 천명의 함의를 갖고 있는 “리기묘응(理氣 妙凝)” 상태에서의 리를 통해 인간 도덕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이 가능하다면, 퇴계는 태극과 천명의 개념 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도덕에 대한 이론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1. 머리말

2. 16세기 조선유학의 천명으로의 관심

3. 천명으로 해석된 퇴계의 리의 의미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