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햄릿의 신경증, 그리고 환상횡단

  • 159
커버이미지 없음

라캉의 ‘햄릿’ 읽기를 분석해낸 기존 논문들을 참조하다보면 불명료한 채로 남는 몇몇 의문점들이 생긴다. 많은 문헌들이 대체적으로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라는 라캉 의 언명을 상기시키는 “대타자의 욕망에 종속된 햄릿”에 글의 출발선을 맞춰놓고 있고, ‘햄 릿 그 자신의 죽음을 통해서만 그는 이러한 상징적 질서(대타자, 필자 주)로의 진입을 성취 할 수 있었다’는 관점 하의 결론으로 마무리하고 있는 것이다.1) 다시 말해 라캉의 <햄릿> 읽기에 관한 연구의 초점은 대체적으로 ‘엄마’의 욕망으로부터 벗어난 햄릿의 ‘거세’에 맞춰 져 있다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라캉이 ‘햄릿’을, 그가 제시한 세 가지 임상구조 중 하나인 신경증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통상 신경증은 말하는 주체의 보 편적 구조로서 억압을 구조적 특성으로 하는, 말하자면 억압이 완전하게 성공하지는 않은 거세된 주체라 할 수 있다.2) 이미 거세된 주체 햄릿이 죽음을 통해 상징계로 진입한다는 논리가 된다.

1. 문제제기

2. 대타자의 욕망에 종속된 햄릿

3. 대타자의 결여와 대상a의 출현

4. 팔루스, 아무것도 아닌 유령?

5. 나가면서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