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복지관련 서비스기관 간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twork characters among service facilities related in the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 304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원활한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을 구현하기 위해 통합적 욕구에 적합한 통합적 서비스 체계구축이 필수적 요소로 인식함을 전제로, 법적 근거를 갖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기관 간 서비스 연계(네트워크)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에 기반 한 현실적 문제를 확인하고, 효과적 서비 스 통합을 위한 실효성 높은 함의를 도출하는데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지역 내 장애인복지 관련 서비스 기관 23곳 전체를 대 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공유, 서비스 의뢰, 협의 및 조정, 물적 및 인적 자원교류 등의 내용에 초점을 맞춰 네트워크 기본 특성과 중심성에 대한 네 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기관(node) 간 연계와 밀 도는 정보공유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자원교류 중 인적자원교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성은 협의 및 조정이 50.0%로 가장 높고, 자원교류 중 물 적 자원교류가 43.4%로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중심성 분석결과 연결 중심성 11.5-44.0%로 연결된 노드가 적어 영향력이 약하며, 근접 중심성은 3.9-22.8%로 타 기관에 대한 영향력의 신속성이 떨어지며, 매개 중심성은 4.3-9.1%로 네트워크 전체의 연결과 통제력에 대한 영향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 관련 기관 간 중심성 등 네트워크 실태는 전반적으로 매우 열악한 상황이고, 낮은 수준의 공유 외 실질적 협력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중심조직 기능부여를 포함한 관련 기관 간 역할의 명확화를 바탕으로, 서비스 유형별 사례관 리의 체계화 및 기관 내 상시적 실무협의체의 실제적 구조화 등을 통해 실질적 응 집성을 높이고, 기관협력에 의한 통합서비스의 평가반영 향상을 통해 기본적 연계 와 밀도 등을 향상시키는 활성화 정책도 동시에 추진해야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