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수화통역사의 수화통역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A Hermeneutic Study on Sign Language interpreting experien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 216

본 연구는 수화통역사의 수화통역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 을 이해함으로써 수화통역사의 역할과 기능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여 동안 10년 이상의 수화통역 경험 을 한 수화통역사 5명을 심층인터뷰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 료는 객관적 해석학을 통해 7개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수화통역으로의 길 찾기 : 호기심에서 인생의 터닝 포인트로, 둘째, 수화의 체화(體化) : 몸짓에서 언어로 의미변화, 셋째, 수화, 같지만 다른 표현의 길 : 언어에서 문화로까지, 넷째, 서비스개입 : 공(公)과 사(私)의 갈림길에서의 갈등, 다섯째, 통역기능인과 복지전문가 사이에서의 역할 혼란, 여섯째, 윤리적 딜레마 : 개인정보 노출과 비밀보장의 갈등, 마지막으로 ,수화통역사의 전문성 : 봉사로부터 전문직으로의 기대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 였다. 첫째, 수화통역사의 실천적 행동지침이 규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수화통역 센터에 농인들의 통역서비스에서 드러난 욕구들을 관리할 수 있는 사례관리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셋째, 수화통역사의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윤리강령의 제정이 요구된다. 넷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 개입, 즉 영역별 전문성확보를 위한 교육과정 개설과 전문가와의 1:1 수퍼비전과 같은 피드백 등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농인과 수화통역 사의 역할기대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직업적 역할정립이 필요하다.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