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자기표현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 Expression-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 한국현실치료상담학회
- 현실치료연구
- 제6권 제1호
-
2017.0617 - 34 (18 pages)
- 59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립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고립아 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6 학년 224명 중 Moreno(1934)의 교우지명검사와 허승희(1993)의 사회?정서적 고립 검사에서 지명도가 낮은 아동(지명도 0-3명) 중 사회?정서적 고립 정도가 89. 2점(M+1SD) 이상(안태용, 2007)에 해당하는 아동 30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으로 나누어, 회기당 60분씩, 14회기 프로그램을 주 2 회 실시하고, 두 집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고립아동의 자기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고립아동의 사회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표현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 그램이 고립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미와 함의가 논의되었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