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강도,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Ego Strength, School Adap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89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영향 변인을 도출하고, 변인 간의 관계에 대 한 최적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설정한 4개의 가설모형에 대한 적합성을 분석하 고, 최적 모델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탐 색하였다. G도 초등학교 4, 5, 6학년생 426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말고사 성적을 학업성취도로 삼았고, 아 동이 응답한 질문지 조사를 통해 부모자녀관계, 자아강도,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였다. SPSS 21.0, AMOS 21.0 프로그램으로 Cronbach s α 계수, 왜도와 첨도를 구하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확 인적 요인분석, χ2 차이검증, 구조회귀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에서 부모의 긍정적 지지와 지원이 많을수록 아동의 자아강도가 강하고,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수준도 모두 높았다. 둘째, 아동의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잘할수 록,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았다. 셋째, 부모자녀관계를 예측변인으로, 아동의 자아강도 와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학업성취를 결과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은 모든 경로가 유의하고 모형적합도도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는 아동의 자아강도, 학교 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거쳐 학업성취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직접 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므로, 두 변인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stablish an optimal model among those variables. We compared the fit of four hypothesized model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4, 5 and 6.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evaluated with their final exams. In addition,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ego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arents supported their child, the higher child s ego strength, school adap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tronger the child s ego, the higher their school adap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ird, the better the child adapts to school, th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ll the paths among the research model in which a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 predictor, such as the child s ego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mediator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with a high goodness of fit. Parental support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children s ego strength, school adap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promotes parent-child relationship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