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5요인의 신경증에 따른 HTP그림검사의 반응특성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ts relation to Response Characteristics of HTP test : Neuroticism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3호
- 2018.03
- 437 - 450 (1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5요인의 신경증에 따른 House-Tree-Person(이하 HTP)검사의 반응특성의 관 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대학생 783명의 NEO-II 성격검사와 HTP검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신경증에 따른 검사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가항목 반응들 중 집 그림 5개, 나무그림 6개, 사람그림 12개의 항목에서 신경증 수준에 따른 반응특성의 차 이를 나타냈다. 집 그림에 대한 신경증 및 그 하위요인의 분석결과에서 선의 성질에서는 충동성이 높 을수록 그림을 강한직선으로 그릴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위축이 높을수록 파선으로 그릴 가능성은 낮 으며 반면 자존감이 높으면 파선으로 그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나무그림에 대한 신경증(N) 및 그 하위요인의 분석결과에서 나무크기에서는 우울하거나 특이성이 높을수록 나무를 작게 그릴 가능 성이 높고 자존감이 낮을수록 작거나 크게 그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람그림에 대한 신경증(N) 및 그 하위요인 분석결과에서 사람그림의 크기에서는 특이성이 강할수록 사람을 크게 그리고 자존감 이 높을수록 작게 그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의 해석은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반응의 해석기반과도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신경증 성격요인과 HTP 검사의 반응특성 사이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성격검사로서 HTP검사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Tree-Person Test(HTP Test) based on the Big-Five Personality Test. 783 university students’ data samples were used as valid data sample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among the neuroticism which on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 HTP indicators. Fiv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House drawing, six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ree drawing, and twelv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son draw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neuroticism. In the analysis of the neurosis and the house painting, the higher impulsiveness related with a strong straight line. The higher the social inactivity related lower the possibility of drawing dashed line. In tree drawing results showed that depressed person often draw small tree, and extreme small or large size reflect low self-esteem. In human drawing result showed that high seelf-esteem related small human drawing.Finally this study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clinical field of art therapy and personality test using HTP tes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