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간호사의 동료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of Coworker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of Nurse

  • 650

본 연구는 간호사의 동료지지,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의 정도를 살펴보고, 간호사의 회복탄력 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D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평간호 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동료지지(r=.32, p<.001)와 심리적 안녕감(r=.5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동료지지는 심리적 안녕감(r=.58,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2) 위계적 회귀모형 단계 1에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업 만족도(t=5.75, p<.001)로 나타났으며 28.2%를 설명하 였고(F=7.94, p<.001), 단계 2에서 동료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을 추가한 결과,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업 만족도(t=3.65, p<.001)와 심리적 안녕감(t=4.71,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39.8%로 증가하였다 (F=10.56, p<.001).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동료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업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연구 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sociation among the degree of coworker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resilience of nurses. The maj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160 nurse were as follows. (1) resili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worker support (r=.32, p<.001)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56, p<.001) and coworker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r=.58, p<.001). (2) In hierarchical regression step 1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impact on resilience of nurse were job satisfaction (t=5.75,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2% (F=7.94, p<.001). In hierarchical regression step 2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impact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job satisfaction (t=3.65, p<.001)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4.71, p<.001) and explanatory power was increased to 39.8% (F=10.56, p<.001). Through this stud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of nurse. As a follow-up, in order to improve resilience, a study to develop programs that would promot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sugges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