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원인인식이 정부 복지정책 확대에 미치는 영향: 정치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on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welfar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Satisfaction
- 이미선(Mi-sun Lee)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3호
- 2018.03
- 803 - 812 (10 pages)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이 진행되고 있는 복지인식에 대해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복지인식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원인인식과 정치만족도와 정부 복지정책 확대의 관계를 규명하여 정부 복지정책 확대에 대한 복지인식을 새롭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정치만족도가 독립변수인 빈 곤원인인식과 종속변수인 정부 복지정책 확대에서 어떤 과정으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 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8차년도의 <복지인식 부가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연구모형의 결측값이 없는 4,184명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후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정 치만족도가 빈곤원인인식과 정부 복지정책 확대를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빈곤원인 인식이 높을수록, 정치만족도가 높을수록 정부 복지정책확대를 지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빈곤원인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복지인식의 후속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welfare awareness which is going on recent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effect of political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welfare and the awareness of welfare. In this study, being aware of the 8th Korea Welfare Panel data were utilized for additional research questions are analyzed are 4,184 people with no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After regression analysis, media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olitical satisfaction was partly mediated by the recognition of the causes of poverty and the expansion of government welfare policies at the level of p <.05. It i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satisfactions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and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welfare. Based on the result, the researchers discussed how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follow-up study of welfare awarenes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