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산업시설에서 고장보고서로부터 고장지식 추출 프레임워크 개발
Failure Knowledge Extraction Framework from Failure Reports in Large Industries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3호
-
2018.03955 - 964 (10 pages)
- 이용수 17
초록
대규모 산업시설은 고장 진단 및 조치는 현장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모든 고장을 한 정된 현장 전문가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산업계에서는 고장보고서를 기록하여, 추후 고장 조치에 이용하고자 축적하고 있다. 하지만, 지식 재이용에 대한 접근이 없어 적합한 자료 를 적시에 획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장조치가 늦어지고 그로 인한 조업 지연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 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로 작성된 고장보고서를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정형 지식으로 자동으로 변환하고, 사용자가 직접 지식을 구축할 수 있는 고장지식 추출 프레임워크를 개 발했다. 실제 공장에서 작성된 고장보고서를 분석하여 문장 패턴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자동으 로 분석된 고장보고서 내용을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지식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하여, 손쉽게 고장지식 추출이 가능하다. 제안된 지식 재이용 방법은 도메인 지식관리 및 공장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large-scale industrial plants, fault diagnosis and treatment are conducted by field expert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relying on limited number of field experts for all faults. For this reason, the industry records a failure report and accumulates it for use in future trouble shooting. However, it is almost to impossible to search from failure report and reuse this knowledge in the real time so it produces huge delay and becomes a critical industrial disast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oblematic knowledge extraction framework, which allows transferring failure reports to structured knowledge and who filed experts can construct their knowledge easily. The framework automatically transfers the content of analyzed failure report to the structured knowledge, and it provides UI for users to easily modify the knowledge base. The proposed knowledge-reuse approach can be expected to use for domain knowledge maintenance and the industrial plant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목차
1. 서론
2. 본론
3. 고장 지식 추출 인터페이스
4. 구현환경
5.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0)
- Augmented Reality and Art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팀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학 교과목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 간호학과 학생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적용효과
- 기하학적 모델링을 위한 조작적, 사회적, 급진적 구성주의의 비교와 다차원적 적용 방법
- 건설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목표에 나타난 인재 양성 유형 분석
- 뉴미디어 광고, 제품의 소비자를 광고의 생산자로 만들다
- 대학생의 성적자율성과 동성애에 대한 태도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정체성 지표를 중심으로 -
- 작가의 표상으로서 새로운 인간상 – 독일문학속의 인물들을 사례로
- 예술기반의 은유분석을 통한 기술 교과에 대한 학생 인식
- 산재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간호학과 학생의 간호학과 조직문화, 이상적 조직문화, 간호현장 조직문화 인식 차이
- 신경과학의 비결정론적 측면에서 살펴 본 중국어 방 논변과 인공 마음
-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두줄쓰기 창의기법 적용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고등학생 자살예방교육 온라인 토론커뮤니티 설계에 대한 연구
- 장애유형별 장애인의 자립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 및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프로그램 개발 절차 탐색
- 간호사의 동료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국 고등 교육의 핵심 역량 개발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교육 자료 시각화
- 무인수상정의 장애물 회피를 위한 3차원 라이다 기반 VFH 알고리즘 연구
- 앙상블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법의 설계: 뜰개 이동경로 예측을 통한 실험적 검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학사경고자 경험 분석
- 빅데이터를 이용한 오피니언 마이닝 기반 SNS데이터의 활용
- 귀반사요법이 농촌 노인여성의 혈압감소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기 중학교 여학생의 또래갈등 대처 경험이 자기 자신, 친구관계,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합의적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using MBTI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Ang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행복의 매개효과
- 대학생을 위한 웃음 유발프로그램의 효과
- 대중문화예술인 정보은행 설립의 문화 정책적 타당성 분석
- 자연어처리와 오픈소스 SW를 활용한 학사민원 챗봇 시스템
- 지역 애착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분석
- 기숙사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적용 및 효과 - 대학생활 적응 및 주관적 생활만족을 중심으로 -
- 새로운 교육 거버넌스 구축의 내용과 향후 과제
- CEFR Basic User 수준 기반 초등영어 학습자 언어능력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도구 개발
- 효율적인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 및 분류 방법
- 숲에서 이루어진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가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트위터 API를 활용한 트위터 검색 기능 개선
- 실감형 설상 스포츠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실측 데이터 이용방법에 대한 연구
-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 혁신초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동학년 교사연구공동체 운영의 이점
- 유머 중재를 통한 제이슨 컴슨 다시읽기
- 하브루타 토론학습의 교직과목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음향방출 기반 배관 조기 결함 검출 및 진단 방법
- HUD Interface와 VR 콘텐츠 인터렉션: VR+HUD
- 견고한 검증을 제공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여론조사 어플리케이션
- 예비보육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놀이성, 정서지능, 협력적 자기조절을 중심으로
- 특성화고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탐색
- 미술과 수학의 융합 수업 설계 방안
- 시청량 및 성별을 중심으로 한 TV장르 호감도 비교분석
- 외국인 유학생 전담학과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연구 :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2016/17년 한미 대통령선거에 나타난 보수주의 경향에 관하여
- 환경 적응적 스마트폰 사용자 인증 기법
- 유아웃음 유발에 관한 연구: 종이 찢는 소리를 중심으로
- 카본 필라멘트 바디 전자 해금의 음향 품질 분석
- 한국 D대학교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의 성과평가 방법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연구재단의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에 대한 연구자들의 지원·선정 현황 및 융합연구자를 위한 시사점
- 재취업 교육생의 IT융합교육성과와 창업의지와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과 대학생의 창의적 인성이 사고양식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IT 융합을 통한 3D 지리 교구 제작과 증강현실 앱 개발
- An EOQ Model with Ordering Cost inclusive of a Freight Cost under Condition of Permissible Delay in Payments
- 한국의 여성 소비자들의 무리행동에 관한 연구
- 탄소성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소형 인장 시험편에서 여러 종류의 심재에 따른 파손 연구
- 다양한 수준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시설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문학치료에서 텍스트 해석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정신현상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해석을 중심으로 -
- 전국 시 도교육청 교원업무정상화 정책 현황 분석 및 방향 탐색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험 이미지 분석
- 의학전문대학원 교수와 학생의 강의실 좌석에 대한 경험적 연구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대·소집단 활동의 영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의 신뢰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동 문학 코퍼스를 활용한 전치사 번역 개선에 관한 연구: The wonderful wizard of Oz의 ‘from’ 번역을 중심으로
- 성격 5요인의 신경증에 따른 HTP그림검사의 반응특성
- 상품의 적합성평가제도에 있어 평가기준의 국가표준 일치화 정책방안 연구
- 지진발생으로 인한 국내 상시관측소 좌표변화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4년제 대학의 메이크업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여대생의 생활습관 및 생활스트레스가 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 차이에 따른 일-가정 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의경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부대적응,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한 소재 별 소형 인장 시험편의 내구성 및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공공도서관 지역정보 디지털아카이브 콘텐츠 분석
-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고장보고서로부터 고장지식 추출 프레임워크 개발
- 빈곤원인인식이 정부 복지정책 확대에 미치는 영향: 정치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타이티 관광개발 정책과 문화관광 전략을 활용한 관광자원개발 방안
- 유러닝 박스와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글로벌 교육 혁신 사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