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의 인생이 성공적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일은 자기 내적 진실, 나 라는 판단 주체의 자기인식에 근거하며, 그러한 자기인식은 구술생애담 서사의 표층과 심층을 아울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재미있는 점은 구술생애담에 나타난 자기인식이 종종 매우 극단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어떠한 사례에는 긍정의 자기인식으로, 또 어떠한 사례에는 부정의 자기 인식으로 양극단에 치우친 구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처럼 양극단으로 치우친 구술생애담을 견인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으로 양자에 해당하는 사례에 나타난 서사 구조상의 변별점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화적 영웅서사의 ‘고난-극복’ 구조가 뚜렷이 나타나고 극복의 주체로서 ‘나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방향의 구술생애담 서사가, ‘고난-극복’의 두 구조 축 중에서 ‘극복’의 축이 결락되고 극복 주체로서의 ‘나’가 부재하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부정하는 방향의 구술생애담 서사가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긍정의 방향으로 일관되는 생애담 서사는 세부적으로 ‘고난-나의 역할-극복’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곧 한국 무속신화의 ‘자기발견-극복’의 구조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 는 생애 주체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구할 수 있는 서사적 구조 원리로서, 다가올 삶의 경험을 긍정적인 의미로 통합해 나갈 수 있는 인식적 도식으로서, 필연적으로 반복될 현실적 삶의 고난을 맞이하여 그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사적 행동 원리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Deciding on whether one’s life has been successful or not is grounded in one’s inner truth, that is, the self-awareness of a judging agent of “I . Such self-awareness is noticeably revealed in both the superficial and deep layers of the narrative in oral life storie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self-awareness found in oral life stories is often characterized by severe extremity. This means that we can easily find case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self-awareness of extreme end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factors that lead oral life stories towards either of the extreme end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stinctive points of narrative structures found in the two cases. During the process, this author has observed that when the “hardships-overcoming” structure of mythical heroic narrative is distinctly shown, and the roles of “I”, the agent of overcoming, are noticeable, the narrativ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affirmation of one’s life omits the axis of “overcoming” among the two structures of “hardships-overcoming”, and when “I” as the agent of overcoming is absent, the narrativ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negation of one’s life is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narrative of life stories consistent with affirmation comes to form the structure of hardships-my roles-overcoming in detail, and this corresponds to that of “self-discovery/overcoming found in Korean s shaman myth. If so, the mythical structure of self-discovery/overcoming may function as the principle of a narrative structure allowing the agent of life to reconstruct his/her life positively, as cognitive schemata to integrate coming experiences in life as positive meanings, and as the behavioral principle of narrative to confront hardships in real life that will inevitably be repeated, and cope with them successfully.
1. 서론
2. 부정/긍정의 극단적 인식이 반영된 구술생애담의 구조적 변별점
3. 긍정적 자기 인식에 결부된 ‘나의 역할’ 찾기
4. 부정적 자기 인식에 결부된 ‘타인의 존재’
5. 행복한 삶의 서사를 위한 ‘자기 발견-극복’의 구조적 원리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