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The authors studied the patterns of suicide in ancient Korea on the basis of eleven suicide cases recorded in the Samguksagi and the Samgukyusa, two history books about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Detailed analyses were made on three cases from which a comparatively clear inferrence about the motives for suicide could be draw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ncient methods of suicide and modem ones. In five cases, the motives for suicide were to escape the personal disgrace of falling into the hands of an enemy. In two cases, suicides were caused by a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and by a desire to show filial obediance toward one,s father. Three other cases include, suicide as a means for a dead soul to take vengence on enemy * suicide caused by shame ; and suicide as a means of loyal remonstration to the King. No clear motives could be found for the remaining one case. The cases of suicide to show filial obediance or to loyal remonstration to the King could be taken as unique to Korea, China and Japan. The other motives can also be found in different cultures of the modem world. However, the eleven cases examined in this study concern only males in the royal families or the noble clas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cannot be construed as offering a firm conclusion about the whole pattern of suicide in ancient Korea.
목차
緖 論
資料 및 方法論的 前提
結果 및 考察
箱 辑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4)
- 입원중인 정신분열중환자의 약물거부 一투약거부자와 순웅자의 비교
- 정신분열증상을 수반한 간질환자
- 專攻醫의 專門科 目 選擇과 性格類型에 관한 考察
- 자문조정 정신의학의 현황
- 양성과 음성 정신분열증에 관한 연구 ㅡ일반적 특성 병전적웅도와 인지기능을 중심으로一
- 발기부전증 환자의 MMPI 평가분석
- 월경주기 증상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 조증환자에 있어서의 Carbamazepine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카페인 투여 급성반응
- Trance and Treatment
- 암환자의 대응전략
- 정신분열병 환자의 약물 비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이 혈청 Prolactin치와 추제외로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자문조정 정신의학의 임상적 연구
- 임상정신병리학— Klinische Psychopathologie—
- 정신의학적 자문조정의 임상례
- 자문조정 정신의학의 역사 및 전망
- 질병행동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조사
- 정상 월경주기와 불안과의 상호관계
- 精神科 敎育이 精神障碍에 對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
- 10년간 정신과 자문의 변화양상
-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 나타난 韓國古代人의 自殺
- S-adenosyl-l-methionine의 항 우울 효과에 관한 임상연구
- Dysmorphophob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