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치료와 중독
Drama Therapy and Addiction
- 이선형(Lee, Sun Hy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연극예술치료연구
- 제7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12
- 9 - 36 (28 pages)
중독이란 몸의 갈망(want, 욕망)의 결과이며 내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일단 중독이 되면 몸은 더욱 강한 욕망을 갈구하지만 욕망의 지속적인 만족이란 불가능하므로 영원한 결핍을 느끼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한 자극을 원한다. 중독된 몸은 기대하는 자극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견딜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이 금단증상이다. 금단증상이 심한 몸은 사회적 장애를 불러일으키며 타인과의 정상적인 관계 형성을 어렵게 한다. 이처럼 중독의 근원이 뇌를 포함한 몸이라는 점에서 중독치료는 몸 자체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물질중독은 몸과 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것이고 행위중독은 몸의 행위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중독과 관련하여 몸의 습관이 긍정적이 되면 중독에서 벗어난 것으로, 부정적이 되면 중독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중독은 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중독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위해 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중독의 치료는 그 특성상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 세 가지 틀에서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약물치료와 더불어 인지행동치료 등 심리치료의 병행이 효과적이다. 몸 심리학에서는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중독을 통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독의 통과’는 몸으로의 체험을 의미한다. 중독의 현상과 상황을 직접 몸으로 체험할 때 치료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신체 활동, 역할연기, 이야기 등 연극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는 중독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집단 예술(사회적)로서 신체의 현존(신체적)과 심리가 공존하는 종합예술인 연극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술치료가 곧 연극치료이기 때문이다. 본 글은 몸에 중점을 두는 연극치료가 어떤 점에서 중독치료에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focusing on the body in addiction treatment. The addiction is resulted from repetitive body desire. As it has a strong tolerance, a person once becomes addicted seeks stronger thing. However, it is impossible to reach eternally satisfactory state. An addicted body continuously seeks stronger stimulus. When an addicted body can not be satisfied, and so the stimulus is not sufficient, the body becomes unbearable. We call that“withdrawal symptoms”. The addiction and withdrawal symptoms influence to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addiction is resulted from the body including the brain. Therefore, when the body is in positive state, it is deviated from the addiction. On contrary, when the body is in negative state, it is closed to the addiction. Thus, the addiction treatment should be concerned with the body itself. Addiction treatment focusing on body can be so an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addiction. Especially, the facts which addiction treatment should be done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rames indicate that psychotherapy such a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s effective with medication. According to somatic psychology,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ddiction’ for treating an addiction. This expression means an experience by the body. In other words, treatment becomes possible when the addiction is directly experienced. In this perspective, drama therapy, that actively use the theatrical factors such as physical activity, role play, and story, can be an important treatment for the addiction. In fact, drama therapy is an art therapy using the drama as a collective art in which the body and the emotion coexist.
Ⅰ. 들어가며
II. 중독의 개념과 의미
III. 중독과 몸
IV. 중독과 치료
V. 중독과 연극치료
VI. 나오며